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

아라비카 주요 품종 5: 비야 사치(Villa Sarchi), 파카마라(Pacamara) 비야 사치(Villa Sarchi) 카투라(Caturra)와 파카스(Pacas)처럼 비야 사치(Villa Sarchi)는 브루봉에서 유래한 단일 유전자의 자연적 돌연변이로 왜소증(dwarfism)을 가진 품종입니다. 비야 사치는 라 루이자(La Luisa)또는 비야로보스 부르봉(Villalobos Bourbon) 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품종은 코스타리카 알라후엘라(Alajuela) 지방의 북서부 지역에서 에서 1950~1960년대 경 발견되었으며 이후 그곳에서 계통 선발(pedigree selection) 작업을 거쳤습니다. 1974년 온두라스 커피 연구소 (Instituto Hondureño del café, IHCAFÉ)에 의해 온두라스에 도입 되었지만 코스타리카 이외의 지역에서는 널리 재배되지 않는.. 2022. 12. 30.
아라비카 주요 품종 4: 게이샤(Geisha), 파카스(Pacas) 게이샤(Geisha, Gesha) 게이샤는 1930년대에 에티오피아의 커피 산림에서 수집 되었습니다. 이후 탄자니아의 리야뭉고 연구소(Lyamungo Research Station) 로 보내진 다음 1953년 중앙 아메리카열대 농업 연구 및 고등교육센터(Centro Agronómico Tropical de Investigación y Enseñanza, CATIE)로 옮겨져 T2722라는 이름으로 연구소 수집 종에 기록 되었습니다. 게이샤는 커피 녹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품종으로 인식되어 1960년대 CATIE를 통해 파나마 전역에 공급 되었습니다. 하지만 가지가 약해 부서 지기 쉬운 탓에 게이샤는 생산자들이 선호하지 않게 되고 그 당시 널리 재배 되지는 못하였습니다. 게이샤가 유명해진 것은 파나마 보.. 2022. 12. 26.
아라비카 주요 품종 3: 마라고지페, SL28, SL34 마라고지페(Maragogipe) 마라고지페는 1870년 브라질의 마라고지페(Maragogipe) 도시 근처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티피카(Typica)의 자연 돌연변이종으로, 마라고지페 나무는 콩과 마디 사이 간격이 넓고 잎 크기가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단일 우성 유전자로 인해 발현되는 특징을 가집니다. 수확한 커피 또한 기존의 아라비카 커피에 비해 알이 매우 큽니다. 이러한 생김새 때문에 ‘코끼리 커피콩(Elephant coffee beans)’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마라고지페 커피의 향미는 자라나는 토지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토지가 좋지 못하면 향미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마라고지페는 종종 ‘향미가 떨어지는’ 커피로 간주 되기도 합니다. 1300미터 이상의 고지대에서 생산되는 마라고.. 2022. 12. 22.
아라비카 주요 품종 2: 문도 노보, 카투라, 카투아이 문도 노보(Mundo Novo) 문도 노보는 브라질 상파울루의 Mineiros do Tiete에서 발견된 티피카와 버번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교배된, 자연잡종(Natural Hybrid)입니다. 어미나무(티피카, 버번) 씨앗은 오늘날 우루페스(Urupês)라고 불리는 노보 문도 지역에 심어졌고, 이곳에서 자연교배를 통해 이 품종이 탄생했습니다. 1943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품종명은 바로 이 지역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문도 노보는 해발 고도 1,000-2,000m(3,300-3,900feet)에서 잘 자라는데, 이는 브라질에서 흔한 고도입니다. 커피 품종으로 문도 노보종의 첫 채집은 1943년에서 1952년 사이에 완료되었습니다. 이 품종은 1952년부터 브라질 농가에 배포 되었습니다. 1977년 .. 2022. 12. 21.